세상사는 이야기

[스크랩] 와인의 등급..

산벗 2007. 4. 26. 13:02
 

프랑스 와인이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유는 일찍부터 품질관리체제를 확립하여 와인을 생산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와인제조는 지방행정부의 법률에 의해서 규제를 받는데, 이것이 유명한 AOC제도이다. 1900년 초부터 시작하여 1935년에 확립되어 현재 프랑스 고급와인은 거의 이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이 제도를 통하여 와인의 원료인 포도의 재배장소의 위치와 명칭,품종,재배방법,단위면적 당 수확량, 제조방법, 알코올 농도 등을 지방별로 관리하게 된다. 소비자들은 엄격히 적용되는 이 제도로 통하여, 와인을 안심하고 구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도 역시 프랑스 와인의 등급에 관해서만 기술코자 한다.

◇ 아뺄라시옹 도리진 콩트롤레(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 AOC)

AOC 제도에 있어 프랑스 와인의 최상급을 가르킨다. 원산지 통제 호칭의 규정과 기준에 따라 포도의 품종, 단위당 생산량, 알코올 최저 도수 등에 관하여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지역의 호칭을 붙일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표기할 때는 포도재배 지역의 명칭을 가운에 삽입한다. 예를 들어 메독 지역이라면, Appellation Medoc Controlle라고 표기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지역 이름이 더 세분화된 지역일수록, 원료 생산지의 범위가 좁아지므로 더욱 특색 있는 고급와인으로 인정된다.
이 등급을 라벨에 표시할 때는, 1등급인 프레미어 크루(Premiers Crus)는 '프레미어 그랑 크뤼 (Premiers Grand Crus)'로 표기하고, 2-5등급에 해당하는 와인은 '그랑 크뤼(Grand Crus)' 또는 '그랑 크뤼 클라세 (Grand Cru Classe)'로 표기한다. 물론, 5등급에 해당하는 와인도 역시 AOC급의 훌륭한 와인이다.
프랑스 전체 와인 생산량의 35%를 차지한다

◇ 뱅 델리미테 드 쿠알리트 쉬페리에(Vins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 VDQS)

"우수한 품질의 와인" 이라는 뜻으로 아뺄라시옹 와인보다는 한 등급 낮게 매겨진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포도주의 수요와 통제가 제대로 따르지 못한 사정을 감안하여 1949년 12월에 만들어졌다. AOC보다 까다롭지는 않지만 VDQS등급을 지정 받기 위해 생산지역, 포도품종, 알코올 함유량, 제조방법 등의 기준을 통과해야 한다.
프랑스 전체 와인 생산량의 2%를 차지한다.

◇ 뱅드 빼(Vins de Pays)

'지역 와인'이라는 뜻으로 엄격한 제도적 규제 없이 포도생산지역과 포도 품종 정도만 제한을 받는 등급으로 프랑스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이다.
프랑스 전체 와인 생산량의 15%를 차지한다.

◇ 뱅드 따블(Vins de Table)

테이블 와인이라고도 하며, 포도 품종의 원산지나 단위당 생산량 그리고 제조 방법 등에 대한 관계 규정에 의한 통제나 규제 없이 제조된다.
프랑스 와인의 40% 이상이 해당되고,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여러 종류의 와인을 혼합하여 만들기도 한다.

출처 : 와인의 등급..
글쓴이 : 꼬레뱅 원글보기
메모 :